직장생활에서 리더 상사의 결정력이 부족하여 수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. 자기 책임 회피,
책임 떠넘기기, 결과 도출이 지연되어 회사에 막대한 손해를 끼치고 있다.
결정장애 상사들은 이 블로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1. 문제 인식과 수용
가. 스스로의 한계를 이해
상사가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경우, 먼저 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스스로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결정에 대한 두려움이나 불확실성을 정확히 인식함으로써 대안적인 접근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.
나. 실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탈피
결정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. 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실패와 부족함을 배우는 기회로 바라보고, 개선의 여지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
2. 팀과의 협력
가. 의견 수렴과 토의
상사가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때, 팀원들과의 협력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팀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토의를 통해 상황을 이해하며, 결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.
나. 의사결정 지원팀 구성
상사가 결정에 어려움을 겪을 때,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팀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 해당 팀은 데이터 분석, 전문지식 제공, 현장 조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정보를 제공하여 상사가 보다 더 깊이 있는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3. 대안적 의사결정 프로세스
가. 플렉서블한 접근
고정된 방식이나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때, 플렉서블하고 실험적인 접근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. 작은 실험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고, 그에 따라 결정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
나. 중요한 결정에 우선순위 설정
상사가 모든 결정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울 때, 중요한 결정에 우선순위를 두고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중요한 사안에만 집중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의사결정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.
4.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
가. 외부 컨설팅
때로는 외부 전문가의 의견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외부 컨설팅을 통해 새로운 시각과 전문적인 지식을 얻어 상사가 최상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5. 정기적인 역량 개발
가. 의사결정력 강화 프로그램 참여
상사는 정기적으로 의사결정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개인 역량을 계속해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이는 심리학적 지식, 의사결정 모델, 리더십 강화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
★결론
상사가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때에는 스스로의 한계를 이해하고, 팀원과의 협력, 대안적인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고려함으로써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. 지속적인 역량 개발과 팀과의 협력은 더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며, 실패를 통해 배우고 발전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.
댓글